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학생과 직장인들이 아주 반길만한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마일리지 적립은 물론이고 지하철 요금 및 버스비와 같은 교통비를 1년 최대 79만원이나 절감해 주는 광역알뜰교통카드의 혜택과 신청방법, 어느 카드가 가장 혜택이 좋은지를 비교해서 추천 해 보겠습니다.

<이 글에서 확인 할 수 있는 정보>
- 알뜰교통카드가 뭐죠?
- 마일리지 적립 기준과 적립 금액
- 알뜰교통카드 비교, 추천
- 알뜰교통카드 이용방법
- 알뜰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한 지역은?
최근 서울시는 8년만에 대중교통요금 인상계획을 발표했습니다. 8월 12일부터 버스비는 300원, 지하철은 올해 10월 7일부터 150원, 내년에 추가로 150원 인상 예정이라 총 300원 인상 한다고 합니다.
정말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교통비에 학생과 직장인들의 부담은 더욱 커져갑니다.
이럴때 일수록 많이 알아보고 현명하게 소비하는 습관이 필요한데요. 최근 교통비를 획기적으로 절감 할 수 있는 ‘광역알뜰교통카드’가 출시되었습니다.
주위에 얘기 해 보아도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알뜰교통카드의 출시 소식이나 혜택을 모르고 있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아래의 글을 잘 읽어 보시고 혜택을 챙겨보세요.
1.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 도보를 이용하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로 변환하여 적립해 주는 카드 입니다.
알뜰교통카드 전용 앱을 통해 앱 마일리지 최대 20%와 알뜰교통카드 10% 혜택, 총 30%의 금전적 혜택을 국민들에게 되돌려주는 교통비 절감 사업의 일환 입니다.
직장인을 예로 들면 집에서 버스 정류장이나 지하철역까지 걸어간 거리와 대중교통 이용 후 회사까지 걸어간 거리를 합산해서 총 이동거리에 따른 마일리지를 적립해 줍니다.

2. 마일리지 적립 기준과 적립금액은?
마일리지의 적립 기준은 1회 대중교통 요금이 2,000원 미만일 경우에는 최대 250원이 적립되고 2,000원 이상 3,000원 미만이면 350원 적립, 3,000원 이상이면 450원이 적립됩니다.
저소득층이거나 만 19세 ~ 34세 청년의 경우에는 적립금이 추가 지급하고 있으니 자세한 금액은 아래의 표를 참고 해 주세요.

마일리지 적립 금액은 1회 대중교통 이용 시 도보와 자전거를 이용한 이동거리는 최대 800m 까지 인정 됩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는 한달에 최대 44회까지만 적립/혜택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23년 7월 1일 부터는 16회가 추가되어 총 60회의 적립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곧 할인 총액을 늘려준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겠죠.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할 수록 혜택이 커 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16회가 추가 된다면 어느 정도의 혜택이 추가 되는 걸까요? 저소득층을 기준으로 보면 1회당 최대 적립금은 700원 이니 700원 X 16회 = 월 11,200원 입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약 13.4만원의 놀라운 혜택이 생기게 됩니다.

3. 알뜰교통카드 추천, 비교
제휴 금융사는 총 11개 카드사로 확장되었습니다. (신한, 우리, 하나, 티머니, 로카모빌리티, DGB, KB국민, 농협, 비씨, 삼성, 현대)
그러나 금융사별로 연회비와 혜택, 전월 실적 기준이 상이하여 신청시 꼼꼼하게 비교해야 합니다.
현재 하나카드에서 출시한 ‘알뜰교통 my Pass 마패 신용카드’ 가 할인율 20%로 (전월 이용실적 50만원 이상) 할인율이 가장 높아, 개인적으로 하나카드의 알뜰교통카드를 추천합니다.
아래에 카드사별 대중교통 할인금액과 전월 이용 실적을 정리해 놓았으니 참고하세요.
카드사별 구체적인 할인 혜택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일리지를 적립하려면 알뜰교통카드 모바일 앱을 설치하고, 회원 가입한 뒤 적립이 가능합니다.

마일리지 적립을 위한 이동거리는 세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첫째, 앱에서 위치 수집을 통해 출발/도착 설정을 통해 정류장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둘째, 자주 이용하는 도착지와 정류장을 등록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셋째, 휴대폰으로 걸음수를 측정해 승하차 시간 기준으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4. 알뜰교통카드 사용 가능 지역
알뜰교통카드는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 서울, 인천, 경기,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울산, 세종, 제주
- 충북(청주, 옥천, 제천)
- 충남 전 지역, 전북(전주, 완주, 익산, 남원, 군산)
- 전남(무안, 순천, 신안, 목표, 여수, 해남), 경북(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 경남(창원, 거제, 김해, 밀양, 산청, 진주, 창녕, 양산, 통영, 고성, 사천, 함안)
- 강원(춘천, 강릉)